검색 상세

한국어 보조사와 카자흐어 조사 대비 연구 : - ‘-도, -만, -라도/da(dе, ta, te), ğana(qana), tek, -aq’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 auxiliary particles and Kazakh particles

  • 주제(키워드) 조사
  • 발행기관 아주대학교
  • 지도교수 박재연
  • 발행년도 2013
  • 제출일 2014-01-02
  • 학위수여년월 2014. 2
  • 학위명 석사
  • 학과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ajou/000000016522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한국어와 카자흐어를 대상으로 한국어 보조사와 카자흐어 조사를 대비하여 서로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혀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1장에서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연구 대상을 정하였다. 그 다음에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어와 카자흐어 문법에서 한국어 보조사와 카자흐어 조사에 대한 기본적 논의를 검토하였다. 한국어 보조사와 카자흐어 조사의 정의를 살펴보고 양 언어의 보조사·조사의 체계가 어떻게 되어 있는 것을 검증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 보조사와 카자흐어 조사의 의미 특성을 기술하였다. 이것을 위해 기존에 논의된 연구들에 기대어 한국어 보조사의 의미를 우선적으로 구분하여 제시한 후, 카자흐어 대응 예문을 제시하여, 한국어 보조사와 카자흐어 조사들이 포함된 문장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예문에서 제시된 이들의 의미를 대비하는 방법으로 각각의 의미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국어 보조사와 카자흐어 조사는 똑같은 ‘강조’, ‘역시’, ‘한정’, ‘소극적 선택’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또한 카자흐어 조사의 경우에는 한국어 보조사가 가지지 않는 별다른 의미, 즉 ‘비교’, ‘추측’, ‘놀라움’ 등의 의미도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4장에서는 한국어와 카자흐어의 구체적인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어 보조사와 카자흐어 조사의 형태론적 특성을 대비하여 기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양 언어의 보조사·조사와 격조사·격어미의 결합 및 보조사·조사의 결합을 통해 두 언어의 보조사·조사의 형태론적 차이를 밝혀 제시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 보조사와 카자흐어 조사는 격조사·격어미와 결합할 때 쉽게 생략될 수 있고 조사 자리에 다른 조소가 올 수 있는 격조사의 통사적인 성격과 생략될 수 없고 자리에 조사가 올수 없는 격어미의 형태적인 성격에 따라 이루어진 결합의 성격도 다르다는 것을 보았다. 한국어 보조사·격조사 결합에서 격조사가 생략되거나 보조사에 선행하는 것과 카자흐어 조사·격어미 결합에서 격어미가 생략되지 않고 항상 조사에 선행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한국어 보조사끼리 결합과 카자흐어 조사끼리 결합의 경우 보조사·조사의 의미 특성에 따라 선행하기도 하고 후행하기도 한다는 것과 카자흐어 조사끼리 결합에서 한국어와 달리 조사의 의미를 확대하는 후치사, 부사, 대명사 등이 실현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장은 결론 부분으로, 양 언어의 보조사·조사를 대비 분석한 것을 요약하고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대비 연구이므로 언어유형론적·계통론적으로 의의가 있다고 본다. 양 언어의 차이를 밝히면 한국이나 카자흐스탄의 언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에게 효율적인 교육 자료가 될 수도 있고 두 나라의 문화를 이해해서 교류를 증진시킬 수 있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more

목차

1. 서론 1
1.1. 연구 목적과 필요성 1
1.2. 연구 대상 및 방법 2
1.3. 선행 연구 검토 5
1.3.1. 한국어 보조사에 대한 연구 5
1.3.2. 카자흐어 조사에 대한 연구 7
1.4. 카자흐어의 특성 9
1.4.1. 계통적 특성 9
1.4.2. 언어적 특성 10

2. 한국어 보조사와 카자흐어 조사에 대한 기본적 논의 14
2.1. 한국어 보조사와 카자흐어 조사의 정의 14
2.1.1 한국어 보조사의 정의 14
2.1.2. 카자흐어 조사의 정의 15
2.2. 한국어 보조사의 체계 17
2.3. 카자흐어 조사의 체계 18

3. 한국어 보조사와 카자흐어 조사의 의미 특성 22
3.1. ‘-도/da(dе, ta, te)’의 의미 특성 22
3.2. ‘-만/ğana(qana), -aq, tek’의 의미 특성 27
3.3. ‘-라도/da(de, ta, te), -aq’의 의미 특성 32

4. 한국어 보조사와 카자흐어 조사의 형태론적 차이 37
4.1. ‘-도/da(dе, ta, te)’의 결합 관계의 차이 37
4.2. ‘-만/ğana(qana), -aq, tek’의 결합 관계의 차이 48
4.3. ‘-라도/da(dе, ta, te), -aq’의 결합 관계의 차이 57

5. 결론 67

<참고문헌> 70

7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