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실천학습공동체 형성과정에 나타난 사회적 자본과 학습문화 : '꿈나래 배움터’ 사례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Building Social Capital and Learning Culture in the Community of Practice "GGumnarae"

초록/요약

평생학습이 ‘실천’보다는 ‘학습’에 관심을 보인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평생교육을 통해 생성된 학습동아리의 활동이 점점 활발해지면서 최근에는 ‘실천력’이 있는 학습동아리가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런가 하면 평생학습이 시민의 삶의 질 향상 및 사회 통합을 통해 지역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는 지자체의 시각 변화가 실천 항목에 관심을 갖게 하고 있다. 실천에 대한 관심은 마을 단위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주민들이 마을의 문제를 학습으로 해결해보려는 의지, 즉 마을 발전을 위해 공동 과제를 설정하고, 학습을 통해 개인 간, 조직 간에 서로 협력하며 과제를 해결하려는 의지가 분출하고 있는 과정에서 실천학습공동체의 속성과 사회적 자본이 내재되어 있음을 기대하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들에서 마을 조직의 실천학습공동체 속성과 사회적 자본 요소, 학습 문화 연구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관심은 평범한 마을 모임이 학습을 통해 실천학습공동체로 형성되어 가는 과정을 탐색하고, 실천학습공동체 형성 과정에 나타난 사회적 자본과 이들의 학습 문화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C시의 꿈나래 배움터를 운영하고 있는 실천학습공동체 구성원 7명과 학습자 1명을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방법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평범한 ‘마을 모임’이 ‘실천학습공동체’로 형성되어 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서 마을 모임이 실천학습공동체로 형성되어 가는데 토대 요인, 매개하는 학습 요인, 촉진 요인이 발견되었다. 토대가 된 요인은 주민 봉사단, 청소년 선도 활동등 지역사회 과제 해결에 적극 참여하는 잠재된 주민 리더십, 마을 변화를 갈망하는 그들의 꿈으로 나타났다. 매개 요인이 된 구성원들이 만난 학습은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학습, 꿈나래 배움터 운영을 위한 리더교육, 배움터 위기 해결을 위한 공동학습으로 나타났다. 촉진 요인으로는 구성원들의 주인의식, ‘나’에서 ‘우리’로의 공동체 의식, 다양한 마을 자원의 결합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 것으로 발견되었다. 촉진 요인중에서도 문제가 해결시 구성원들의 강한 결속력과 협력이 꿈나래 배움터를 지속하는데 크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천학습공동체의 이러한 공동체의식은 주민들에게 확산되어 꿈나래 마을에 성숙한 시민학습공동체 문화가 형성되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 마을의 모든 인적․물적 자원을 학습그물망처럼 촘촘히 연결해감으로써 학습생태계가 구축 되고 있었다. 둘째, 마을 모임이 실천학습공동체로 형성되어 가는 과정에서 3가지 요소의 사회적 자본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첫 번째 사회적 자본은 실천학습공동체 형성과정에서 ‘법 없이도 사는’ 신뢰 자본으로 나타났다. 이는 구성원간, 구성원과 학습자간, 구성원과 주민들간에 서로 믿는 분위기를 조성하였기 때문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사회적 자본은 ‘눈 빛만 봐도 척척 통하는‘ 한마음 자본으로 나타났다. 실천학습공동체 구성원들은 대부분 초창기부터 참여하고 있을 정도로 서로 간에 의견 충돌 없이 소통이 잘 되고 있었다. 또한 위기 해결과정을 통해 구성원들을 비롯하여 마을 주민, 지역인사, 평생학습 기관단체, 관공서, 대학생 등 모두가 한마음으로 일치단결하는 마을 문화가 형성되는 것이 발견되었다. 세 번째 사회적 자본은 자발적인 주민의 힘과 다양한 자원이 결합되어 구성원 모두가 이웃 사촌처럼 한 가족이 된 관계 자본으로 나타났다. 주민의 소소한 물품 후원부터 기업의 사회공헌 사업, 다양한 자원들의 배움 나눔의 힘이 한 가족 같은 실천학습공동체로 변화시키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지역의 사회통합을 이루어내는 초석이 되고 있으며, 이들이 운영하는 꿈나래 배움터가 공공재로서 주민들의 삶의 중심이 되게 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셋째, 실천학습공동체 형성 과정에 다음과 같은 학습문화가 나타났다. 마을 모임이 실천학습공동체로 형성되어 가는 과정에서 매개하는 학습 요인을 토대로 학습 문화가 나타나는 것을 발견되었다. 마을 모임이 실천학습공동체로의 형성과정에서 꿈나래 배움터 지킴이와 배움나눔 학습지도자 실천학습공동체 구성원들은 학습의 기회만 있으면 열화적으로 참여하는 학습 문화와 배운 것을 즉시 실천하는 지행합일의 실천척 학습문화가 나타났으며, 모두가 상생하는 공동체형 학습문화를 형성해가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지역의 과제를 해결하려는 문제해결 학습형 마을 모임 실천학습공동체와 전문탐구 학습형 배움나눔 실천학습공동체 결합되면서 실천력이 더 강화 되어가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다양한 형태로 학습동아리 배움 나누기 사업이 지속되면서 학습동아리의 학습력과 실천력이 강화되었으며, 이는 실천학습공동체의 토대가 된 것으로 발견되었다. 이 연구에서 새롭게 발견된 것은 첫째, 마을 중심의 실천학습공동체 형성을 위해서는 마을에 대한 애착심과 실천력이 강한 문제해결형 학습동아리와 학습력과 공동체의식이 강한 전문탐구형 학습동아리가 결합되었을 때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움을 나누는 공동체 의식이 마을을 변화시키는 초석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평생교육적 차원에서 실천력과 학습력이 강한 배움나눔 학습동아리 생성이 지역사회 발전의 원동력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평생교육을 통해 생성된 학습동아리들이 ‘배움나눔 학습지도자’ 실천학습공동체 속성이 나타나기까지 각 단계별 학습 유형의 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학습동아리를 생성하는 초기단계에서는 심화학습형의 특성을 보이다가, 배움 나누기 사업에 참여하는 단계에서는 전문탐구형의 학습 특성이 나타났다. 그리고 꿈나래 배움터 배움나눔 학습지도자로 활동을 하면서 전문탐구형은 지속되었으며, 문제해결형 학습 특성까지 나타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실천학습공동체에 대한 논의에서 있어 실천공동체에 학습이 내포되어 있음에도 지금까지 학자들은 실천공동체로 정의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학습이 매개 요인이 되어 실천력이 강화되고 실천력이 강화될수록 학습력도 강화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평생교육에서는 학습이 내포된 실천공동체를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실천공동체(Community of Practice)보다는 실천학습공동체(Community of Practice Learning)로 정의하는 것이 적합하며, 앞으로 실천학습공동체에 대한 개념 정의와 평생교육 분야의 다양한 사례를 중심으로 한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끝으로 이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이 연구는 평생교육적 측면에서 미흡한 점으로 지적되는 부분인 사회적 자본 형성 과정에서 나타난 갈등과 주체성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였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둘째, 이 연구 사례는 시민사회 영역에서 지역주민들이 자생적으로 학습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평생학습 공공의 자산을 형성하였다는 점에서 평생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more

목차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5

II. 이론적 배경 ········································6
1. 학습공동체·······························································6
가. 학습공동체의 의미··················································6
나. 소집단과 지역사회 차원의 학습공동체··························8
2. 실천학습공동체와 상황학습론········································15
가. 실천공동체의 의미·················································15
나. 학습의 기제로서 실천학습공동체································18
다. 상황학습론··························································21
3. 평생교육과 사회적 자본··············································24
가. 사회적 자본························································24
나. 평생교육에서의 사회적 자본·····································37

Ⅲ. 연구방법 및 절차 ·································50
1. 연구 방법 : 사례연구·················································50
2. 연구대상과 참여자·····················································52
가. 연구대상 사례 ·····················································52
나. 연구 참여자 ·······················································53
3. 연구절차 ·······························································60
가. 자료 수집···························································60
나. 자료 분석 ···························································66
4. 연구의 신뢰성 및 윤리성 확보······································69

Ⅳ. ‘마을 모임’에서 ‘실천학습공동체’로의 형성과정·71
1. 평범한 사람들의 모임·················································72
가. 소외계층이 밀집된 마을··········································72
나. 평범한 마을의 모임···············································74
다. 마을 리더의 등장··················································75
2. 평범한 마을모임이 만난 학습 ·····································77
가.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학습······································77
나. 배움터 운영을 위한 리더 교육··································81
다. 배움터 위기 해결을 위한 공동 학습····························83
3. 평범한 마을 모임에서 ‘실천학습공동체’로의 변화 ················87
가. 내가 바로 마을의 리더 ·········································87
나. ‘나’에서 ‘우리’로···················································93
다. 마을 자원의 결합··················································96

Ⅴ. 실천학습공동체 형성과정에 나타난 사회적 자본
···················································101
1. ‘법 없이도 사는’ 신뢰로운 실천학습공동체······················102
가. 서로 믿는 구성원들··············································102
나. 서로 믿는 구성원과 학습자들··································104
다. 서로 믿는 구성원과 주민들·····································107
2. ‘눈빛만 봐도 척척 통하는’ 한마음 실천학습공동체·············109
가. 모두가 한마음이 된 구성원·····································110
나. 마을과 한마음이 된 구성원 ·····································114
다. 문제 해결에 모두가 한마음 ·····································117
3. ‘모두가 이웃 사촌’ 한가족 같은 실천학습공동체···········121
가. 소소한 후원이 끊이지 않는 따뜻한 마을·····················121
나. 마을을 변화시키는 ‘배움 나눔의힘’······················124
다. 삶의 중심이 된 꿈나래 배움터·································127

Ⅵ. 실천학습공동체 형성과정에 나타난 학습문화··130
1. 열화적 참여 학습문화··········································131
가. 빠짐없이 참여하는 학습광······································131
나. 열화와 같은 학습 열정··········································132
다. 열화적 참여로 강화되어가는 전문성···························134
2. ‘지행합일’의 실천적 학습문화··································136
가. 성장의 발판이 된 실천학습장··································137
나. 실천하기 위한 학습··············································139
다. 생성적 실천을 위한 학습········································141
3. ‘모두가 상생하는 공동체형’ 학습문화·····························142
가. 소통하는 상생적 대화형 학습··································143
나. 배우며 나누는 상생형 학습·····································144
다. 서로 협력하는 공동체형 학습·································149

Ⅶ. 논의 및 결론·····································154
1. 논의·····································································154
2. 결론······································································173

참고문헌

ABSTRACT

부 록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