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부모학습관여가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on the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초록/요약

본 연구는 부모학습관여,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살펴보고, 부모학습관여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통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는 중학생들의 진로발달에 있어서 부모역할에 대한 재고(再考)와 함께, 효과적인 진로상담 및 진로교육프로그램과 관련한 교육복지의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에 수도권 2곳의 중학교 1학년 209명을 대상으로 진로성숙도, 부모학습관여,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1 for Window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는데, 먼저 Cronbach-α 검사를 실시하여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통해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주요변인의 차이를 알아보았고, 주요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부모학습관여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과 부모의 학력 및 직업에 따른 부모학습관여,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한편 성적에 따라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부모학습관여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가정의 경제수준에 따라 부모학습관여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부모학습관여,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모학습관여와 자기효능감,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 부모학습관여와 진로성숙도 간에는 모두 유의수준 0.01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특히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은 가장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부모학습관여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부모학습관여와 진로성숙도 사이에서 자기효능감은 완전매개 하였다. 즉, 부모학습관여는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통하여 진로성숙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학습관여가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가 거의 전무한 상황에서, 부모학습관여와 진로성숙도 간의 정적 상관을 밝히고 부모학습관여의 진로성숙에 대한 영향력을 확인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부모학습관여가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의 완전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진로발달과정에서 학생의 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한편 성적에 따라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가정의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부모학습관여가 높다는 결과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효과적인 프로그램개발과 관련된 교육복지적 논의를 제공한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And the effect of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on the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were analy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think about the role of parents in the career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education welfare related to effective career counseling and career education programs. I examined career maturity,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and self-efficacy to the first grade 209 students of two metropolitan middle school.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perform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1 for Windows, and the Cronbach-α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I examined differences of the major factors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by T-test and ANOVA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variable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on career maturity,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the three-step regression analysis of Baron and Kenny(1986) was conduct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career maturity, self-efficacy,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parents' education and occupation. Meanwhile, depending on school record,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but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It showed that a significant difference of parent learning involvement depending on economic level of the hom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Second,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under 0.01 level of significance. In particular,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was the highest correlations. Third, Self-efficacy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and career maturity. In other words,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had a indirect effect on career maturity through self-efficacy. This study reveal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and career maturity, and revealed indirect influence on the career maturity of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This result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almost no previous research about the effects of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on career maturity. Also, this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elf-efficacy in the process of career development, by validating the fully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process of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influence on career maturity. Meanwhile,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depending on school records there were a meaningful difference in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and that the higher the economic level of the home was, the higher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was. It provided a discussion for educational welfare related to effective programs development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grams.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주제 및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내용 3

Ⅱ. 이론적 배경 5
1. 진로성숙도 5
1) 진로성숙도의 개념 5
2) 진로발달이론 6
3) 진로성숙의 관련변인 11
2. 부모학습관여 12
1) 부모학습관여의 개념 12
2) 부모학습관여의 중요성 13
3. 자기효능감 14
1) 자기효능감의 개념 14
2) 자기효능감의 효과 16
3) 자기효능감의 관련변인 17
4. 부모학습관여,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18

Ⅲ. 연구방법 21
1. 연구모형 및 가설 21
2. 조사대상자 22
3. 조사도구 22
4. 자료분석방법 25

Ⅳ. 연구결과 27
1. 조사대상자의 특성 27
2. 주요변인들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29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모학습관여,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의 차이 31
1) 성별에 따른 주요변인들의 차이 31
2) 성적에 따른 주요변인들의 차이 31
3) 부모학력에 따른 주요변인들의 차이 33
4) 부의 직업에 따른 주요변인들의 차이 34
5) 모의 직업에 따른 주요변인들의 차이 35
6) 가정의 경제수준에 따른 주요변인들의 차이 36
4. 부모학습관여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38

Ⅴ. 결론 및 제언 41
1. 연구결과 요약 41
2. 논의 및 제언 42

참고문헌 47
부록 52
ABSTRACT 5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