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Prostate-specific Antigen Nadir and Time to Prostate-specific Antigen Nadir Following Maximal Androgen Blockade Independently Predict the Prognosis in Patients with Metastatic Prostate Cancer

전이성 전립선암으로 최대남성호르몬차단요법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전립선특이항원 최저점과 전립선특이항원 최저점까지의 시간은 독립적 예후 인자이다

초록/요약

목적: 전이성 전립선암으로 최대남성호르몬차단요법 (maximal androgen blockade; MAB)을 시행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전립선특이항원 (prostate- specific antigen; PSA) 역동학이 질병 진행 및 암특이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전이성 전립선암으로 MAB를 시행 받은 131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환자들의 기본적인 특성, MAB 시작 시의 PSA, PSA 최저점, PSA 최저점까지의 시간 (time to PSA nadir; TTN), PSA decline을 분석하였다. 결과: 30개월의 정중 추적 관찰기간 동안 97명의 환자가 질병 진행을 보였고 65명의 환자가 사망하였다. 이중 59명의 환자가 전립선 암으로 인해 사망하였다. 단변량 분석에서 MAB 시작 시의 PSA, PSA 최저점, TTN, PSA decline은 질병의 진행 없는 생존의 유의한 예측인자였다. 또한 PSA 최저점, TTN, PSA decline은 암특이 생존의 유의한 예측인자였다. 다변량 분석에서는 높은 PSA 최저점과 짧은 TTN이 질병의 진행 없는 생존과 암특이 생존이 더 짧을 것임을 예측하는 독립적 예후 인자로 나타났다. 이 두 인자를 결합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높은 PSA 최저점과 짧은 TTN을 보인 군이 질병의 진행 없는 생존과 암특이 생존에 있어서 가장 나쁜 결과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 전이성 전립선 암으로 MAB를 시행 받은 환자들에서 높은 PSA 최저점과 짧은 TTN을 보이는 경우 질병 진행의 위험성 및 불량한 생존율과 연관이 있었다. 더욱이 이 두 인자는 결과에 있어서 상승적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