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기존 단독주택 지역 보존방안 연구 : 유지관리제도 중심으로

Existing detached house region preservation measure research – up-keeping system central

초록/요약

그동안 우리나라가 도시화, 산업화의 진전에 따라 공급위주의 주택정책을 펼쳐왔으며, 그 정책의 효과로 현재 주택보급률은 100%를 초과하여 101.9%에 이르렀다. 또한 단시간에 대량공급을 목적으로 하는 주택공급 정책상 아파트 위주의 공급이 이루어졌고 수요자들 역시 부동산 가격상승으로 아파트를 선호하면서 기존 단독주택 지역들이 개발이라는 미명 아래 점점 사라져가고 있다. 이런 과정 속에서 자원낭비, 환경문제 등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제까지 공급되었던 주택들을 제도적으로 방치함으로써 노후화 속도를 가속화 시키고 거주자들에게는 삶의 질이 저하시키고 있어 우리나라 주택정책이 공급위주에서 관리위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점점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지금까지 공급되었던 주택들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의 의문점이 도출되었고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기존 단독주택 유지관리제도’가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그래서 기존 단독주택 유지관리제도의 개념과 필요성을 먼저 검토하고 현재 시행중에 있는 국내외 사례를 검토하였는데 국내사례로는 ⅰ)두꺼비하우징 ⅱ)해피하우스시범사업 ⅲ)서울형 집수리사업(S-Habitat) ⅳ)사회취약계층 주택개보수사업을 검토하였고 해외사례로는 ⅰ)일본 스마일 주택안심네트 ⅱ)일본 주택장기보증 지원센터를 검토하였다. 검토된 국내외 사례 중 사업구역이 전국적인 해피하우스시범사업과 사회취약계층 주택개보수사업을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서비스 만족도를 평가함으로써 기존 단독주택 유지관리제도의 필요성을 재확인 하였다. 또한 2가지 사례를 통해 추후 유사 유지관리제도 수립시 참고가 될 수 있다 해피하우스시범사업과 사회취약계층 주택개보수사업의 분석을 통해 기존 단독주택 유지관리제도가 단기간에 정착되고 활성화될 수 있는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회성 홍보가 아닌 거주자의 인식을 전환시킬 수 있는 홍보가 필요하다. 둘째, 적극적이고 자발적 참여를 유발시키기 위해 회원제로 운영되어야 한다. 셋째, 계획적인 유지관리와 주택거래시 활용자료로 사용될 수 있게 이력관리 시스템을 운영해야 한다. 넷째, 취․등록세 감면, 개보수 보조금 지원 등 장기우량주택에 대한 혜택이 필요하다. 다섯째, 유지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불량주택에 대해서는 신축시 용적률 규제라는 규제책이 필요하다. 여섯째, 소득, 문화생활 영위 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가치창조 서비스를 개발해야 한다. 본 연구는 기존 단독주택 보존 및 활성화를 위해 기존 단독주택 유지관리제도들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한 개선방안을 도출해보았으며, 향후 기존 단독주택 보존에 대한 정부의 관심과 제도적 장치가 뒷받침될 수 있도록 유지관리제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more

초록/요약

So far our country, according to the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s progress it has unfolded a housing policy centered in supply, and by effects of that policy, currently our house distribution rate is over 100% staying at 101.9%. Also a supply centered for the housing supply policy apartments purposing for a mass supply in a short time, and the consumers also preferring apartments due to the real estate price rising, the existing detached house areas are slowly vanishing under the name of development. In such process, resource waste and environmental problems are being brought up, and institutionally neglecting the houses supplied until now it is accelerating the deterioration speed and is reducing the quality of life for the residents, enlarging the awareness that our country’s house policy must switch from a supply centered to a supervision centered one. Inside such context a question of “how will supervision about the houses supplied so far will be done” is being deducted and as a solution the “existing detached house up-keep system” can be one of the measures. Therefore reviewing the need and concept of the existing detached house up-keep system first and then we reviewed the domestic/foreign cases currently implemented, and the domestic cases reviewed were: 1) Toad housing 2) Happy house demo project 3) Seoul house-repair project (S-Habitat) 4) Social weak class remodeling project, and for foreign cases reviewed were: 1) Japan Smile house relax net 2) Japan house long term guarantee support center. From the reviewed domestic/foreign cases we analyzed in detail the happy house demo project and social weak class remodeling project which the project scope is nationwide, through a survey we evaluated the customer service satisfaction and have reconfirmed the need of an up-keep system for the existing detached houses. Also through 2 cases we can refer when establishing a similar up-keep system in the futur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happy house demo project and social weak class remodeling project, we have deducted a measurement that can vitalize the existing detached house up-keep system and be established in a short time and the context is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of a publicity that can change the awareness of the residents and not just a one-time publicity. Second, It must be administrated in a membership system in order to induce an active and voluntary participation. Third, a history management system must be administrated in order to be used as data in a planned up-keep or housing. Fourth, There is a need of a benefit about long term houses such as acquisition/registration fee reduction, remodeling subsidy support. Fifth, There is a need for a regulation that states regulation of the floor area ratio when new building about the defect house that the up-keep was not done systematically. Sixth, Must develop a value creation service that can expand the income, culture life management. The current research has deducted an improvement remedy through case analysis about the existing detached house up-keep management system for the preservation and vitalizations of the existing detached house, and there is a need for a continuous research about the up-keep management system so that the institutional set up and government’s interest can be supported about the future existing detached house preservation.

more

목차

제1장 서 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제2장 기존 단독주택 유지관리제도 고찰 4
제1절 기존 단독주택 유지관리제도 개념 및 필요성 4
2.1.1 개념 4
2.1.2 기존 단독주택 유지관리제도 필요성 4
제2절 단독주택 유지보수 관련 사업 종류 15
2.2.1 국내 사례 15
2.2.2 해외 사례 24

제3장 기존 단독주택 유지관리제도 분석 27
제1절 해피하우스 시범사업 27
3.1.1 시범사업 추진배경 및 공모 27
3.1.2 시범사업 추진체계 29
3.1.3 시범사업 주요내용 및 추진경과 30
3.1.4 시범사업 서비스 지원현황 35
3.1.5 서비스 만족도 평가 40
제2절 사회취약계층 주택개보수사업 44
3.2.1 추진배경 44
3.2.2 추진체계 44
3.2.3 주택개보수 사업내용 및 추진실적 48
3.2.4 서비스 만족도 평가 53

제4장 기존 단독주택 유지관리제도 문제점 및 개선방향 56
제1절 기존 단독주택 유지관리제도 문제점 56
4.1.1 제도에 대한 이해 부족 56
4.1.2 지자체 및 거주자 참여의식 결여 57
4.1.3 장기우량주택에 대한 혜택 부재 59
제2절 지존 단독주택 유지관리제도 개선방향 60
4.2.1 인식전환을 위한 홍보 60
4.2.2 회원제 운영 61
4.2.3 이력관리시스템 운영 62
4.2.4 장기우량주택에 대한 혜택 부여 64
4.2.5 기존주택에 대한 건축규제 67
4.2.6 가치창조 서비스 개발 68

제5장 결론 7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