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MND-AF 기반 정보체계 개발비용 산정방법 연구

A method on SW Development Cost Estimation of Information Systems based on MND-AF

초록/요약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국방정보화 업무 추진을 위하여 국방정보화사업의 준비 단계인 “소요, 기획, 계획, 예산편성 단계”에서 국방 정보체계 개발 비용을 예측하여 중·장기 예산에 반영하여야 한다. 그러나 국방정보화사업의 준비 단계에서 비용을 산정하여 재원 배분을 위한 체계적인 기준을 정하기가 어려워 대부분 경험에 의한 전문가 판단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실제 “체계 구축 단계”의 개발 비용과 많은 차이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국방정보화사업의 준비 단계와 비교할 때 소요군의 목적에 부합하는 정보체계 개발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일정 규모의 국방정보체계 개발 시 국방정보화사업의 준비 단계인 “소요, 기획, 계획, 예산편성 단계”에서 반드시 선행 구축되어야 하는 단위체계별 아키텍처 구축 결과를 활용하여 정보체계 개발 비용 산정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2장에서 국내·외 소프트웨어 사업대가기준 관련 사업대가 추정 방법론과 사업대가 추정모델비용 등을 비교·분석하여 장·단점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3장에서는 현행 국방정보화사업 추진 절차를 분석해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비용추정 모델을 확인하고 MND-AF를 분석하여 비용추정 모델에 적용할 수 있는 산출물을 확인하였다. 4장에서는 국방 통합EA 구축 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EA기반 개발비용 추정 방법을 정의한 후 운용아키텍처에서 운용활동, 운용정보 및 업무기능 등의 요소들과 함께 능력 개념을 비용요소로서 검토한 EA기반 개발비용 추정 모델을 정의하고 제시한 모델을 바탕으로 사례를 적용해 본 후 5장에서 결론을 맺는다. 이번 연구의 의미는 표준화된 산출물인 아키텍처 구축결과를 활용하여 임무와 업무의 목적에 적합한 규모로 업무기능을 묶어서 업무기능별 목적에 적합한 체계구축 비용을 추정하는 모델을 새롭게 제시했다는 것이다. 즉 관련 연구에서 살펴보았듯이 다른 모델에서는 소프트웨어 규모, 노력인자, 상세기능, DB 구조, 생산성 요인 등과 같은 비용추정을 위해 많은 요소들이 필요하므로 국방정보화사업의 준비 단계인 “소요, 기획, 계획, 예산편성 단계”에서 적용이 어려움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임무와 업무의 목적에 적합하게 적절한 규모로 묶인 업무기능에 구현된 체계구축 비용을 비용추정 요소로 단순화하여 적용한 것이 새로운 모델이다. 또한 국방정보화사업의 준비 단계인 “소요, 기획, 계획, 예산편성 단계”에서 구축된 아키텍처를 이용하므로 가능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정보체계 개발 비용 산정이 가능할 것이다. 이것은 표준화된 업무단위인 단위과제 중심의 체계구축 비용추정을 의미하는 것이며, 임무와 업무의 목적에 적합하게 세분화된 단위로서 여러 가지 운용활동들이 포함되어 비용추정 모델의 기초가 된다. 그리고 임무와 업무기능의 표준화 및 단위과제 등의 상세화 수준을 정의하고 표준화된 기준에 따라 업무기능, 단위과제, 운용활동 등이 정의되어 연관된 체계기능의 비용 추정에 대한 객관성이 유지될 것이다. 또한 현재 업무기능에 대해 체계에 적용된 수준과 능력을 파악하여 소요군의 목적에 가능한 부합하는, 목표 능력에 따라 차등 적용이 가능한 정보체계 개발이 가능해 질 것이다. 여기서 표준화된 업무기능, 단위과제, 운용활동 별 체계구축 비용이 결정되면 빠르게 재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결과 추정된 국방정보체계 개발 비용을 중·장기 예산에 반영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국방정보화 업무 추진을 달성하게 될 것이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information system development cost estimation model utilizing architecture results which should be established during the Requirements and Planning phases in the Defense information business. In this study, by defining the level of standardization and elaboration of business functions, the expected effect presents the objective standard configuring system based on Architecture. In accordance with standards consisting of Architecture, business function, unit assignments, the operating activities will be defined and the objectivity about the estimated cost will be maintained. Also, by apprehending the system level and ability applied to the business functions, it is possible to develop different applicable information systems which meet military needs in accordance with target capability . If these standardized business functions, unit assignments, and operational activities are determined, it is expected to be reused quickly. As a result, by reflecting estimated development cost of the Defense Information System into middle-long term budget, the effective Defense Information System's task process would be accomplished.

more

목차

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 2 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제 2 장 관련 연구 4
제 1 절 개요 4
1. 소프트웨어 사업대가 정의 4
2. 소프트웨어 사업대가 기준의 구성 및 범위 5
제 2 절 소프트웨어 사업대가 추정 방법론 7
1. 전문가판단법(Expert Judgment Approach) 7
2. 유추판단법(Analogy Approach) 8
3. 상향식추정법(Bottom-Up Approach) 9
4. 하향식추정법(Top-Down Approach) : 모수추정법(Parametric Cost Approach) 9
5. 소프트웨어 사업대가 추정 방법론의 장·단점 및 시사점 10
제 3 절 소프트웨어 사업대가 추정모델 12
1. COCOMO(COnstructive COst MOdel) 12
2. COCOMO(COnstructive COst MOdel) II 16
3. 기능점수(FP, Function Point) Model 20
4. PRICE-S Model 23
5. 기타 Model 25
6. 소프트웨어 사업대가 추정모델의 장·단점 및 시사점 26
제 3 장 EA기반 개발비용 추정방법 개발 28
제 1 절 개요 28
제 2 절 현행 국방정보화사업 추진 절차 분석 30
1. 국방정보화사업 추진 절차 30
2. 소요 기획 단계 분석 32
3. 중기계획 및 예산 단계 분석 35
4. 현행 국방정보화사업 소요 기획 단계 및 예산 단계의 비용 추정 모델 38
제 3 절 MND-AF 및 접근 방법 분석 40
1. 개요 40
2. 운용관점(Operational View) 분석 42
3. 체계관점(System View) 분석 46
제 4 장 EA기반 개발비용 추정 방법 적용 방안 51
제 1 절 EA기반 개발비용 추정 방법 51
1. 전제 조건 52
2. EA기반 비용추정 모델 구성 56
제 2 절 운용아키텍처 기반 비용 추정 모델 적용 사례 60
1. 가정 사항 - 1 60
2. 모델 적용 - 1 60
3. 가정 사항 - 2 62
4. 모델 적용 - 2 62
제 3 절 종합 65
제 5 장 결론 6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