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고속도로 나들목/분기점의 도로선형 기반 교통사고예측모형 개발

Development of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s Based on Road alignments Element for Expressway Interchanges

초록/요약

우리나라 고속도로는 교통사고는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인적요인, 차량요인, 기하구조요인, 환경적 요인 등의 상호 복합적 발생요인으로 인한 꾸준히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한국도로공사와 정부의 고속도로 안전진단, 사고다발지점 개선사업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노력으로 인하여 고속도로 교통사고, 사망자수, 부상자수 등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다(도로교통공단, 2010).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고속도로 교통사고는 인적요인, 차량요인, 기하구조요인, 환경적 요인(날씨 등) 등 다양한 발생요인의 상호 복합적인 개입으로 인하여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또한, 최근 3년간의 고속도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를 위치별로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사고는 고속도로 본선, 나들목/분기점의 램프 및 영업소에서 발생하였지만 고속도로에서 차지하는 구성 비율을 고려할시 본선에 비해 나들목/분기점의 램프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교통사고가 발생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전 노선을 대상으로 2007 〜 2009년까지 3년간의 교통사고를 분석하고, 나들목/분기점의 램프 총 201개에 대한 도로선형자료를 이용하여 램프의 형식별(직결형, 준직결형, 루프형)로 총 3개의 교통사고와 도로선형과의 사고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도로의 신설시 설계단계에서 사고발생 가능성이 높은 도로선형요소들의 조합을 사전에 파악하여 설계기준 개선에 활용하고, 개통 후 운영 및 관리 단계에서 사고다발지점의 원인을 분석하여 개선안 도출에 활용되며 최종적으로 고속도로 교통사고를 최소할 수 있을 것이다.

more

목차

목 차

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2
제 2 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1. 연구의 범위 3
2. 연구의 방법 4

제 2 장 이론적 고찰 5
제 1 절 선행연구 고찰 5
제 2 절 분석모형 고찰 17
1. 포아송 회귀모형(Poisson Regression Model) 17
2. 음이항 회귀모형(Binomial Negative Regression Model) 18

제 3 장 교통사고 특성분석 20
제 1 절 사고발생원인별 특성분석 20
제 2 절 사고유형별 특성분석 23
제 3 절 기하구조 특성별 사고율 25

제 4 장 모형개발 및 검정 27
제 1 절 자료 수집 및 정리 27
1. 자료 수집 방안 27
2. 자료 수집 대상 28
3. 자료 정리 29
제 2 절 분석 방법론 37
1. 모형개발 방법론 37
2. 도로선형 변수 및 적용 모형 38
3. 변수 선정 39
4. 모형 검정 42
제 3 절 모형 개발 43
1. 직결형 램프 43
2. 준직결형 램프 45
3. 루프형 램프 47
제 4 절 모형 검정 50

제 5 장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51
제 1 절 결론 51
제 2 절 향후 연구과제 53

참고문헌 5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