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짝 활동을 통한 영어학습의 효과 연구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3학년 학생들 중 영어 수준별 이동수업의 상위그룹을 중심으로 짝 활동을 통해 학습한 학습자들의 인지적 영역인 영어 학업성취도의 향상과 정의적 영역의 심리적 안정, 흥미도 및 불안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근무하고 있는 수원시 Y중학교 3학년 7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실험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짝 활동을 통한 수업은 영어 학업성취도 향상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중학교 3학년 영어 수준별 수업의 상위그룹 학생들 중 짝 활동을 실시한 그룹의 영어과 학업성취도는 사전-사후 검사 비교 시 점수의 향상은 있었으나, 개별학습이 이뤄진 그룹의 점수 보다는 향상 정도가 미약하여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이는 두 집단 모두 사전-사후 검사 비교 했을 때 평균점수의 차이는 1점 정도의 차이로 다소 작은 차이였고, 사전검사의 평균 그 자체가 90점대로 천장효과가 있었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사전, 사후 검사지가 학교 내에서 실시한 중간, 기말고사이었기 때문에 두 집단의 학생들은 자기주도적 학습이 잘 형성되어있는 상위그룹 학생들로서, 외부의 환경을 통한 학습 즉, 학교 밖의 상황에서 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는 가능성을 배재할 수 없다. 더욱이 연구의 짧은 기간으로(1개월) 12차시를 통한 수업이 두 집단 간의 유의미한 큰 차이를 내는 데 역부족이었다는 점도 고려해 볼 수 있다. 둘째, 짝 활동을 통한 수업은 영어에 대한 흥미도 향상에 영향을 미쳤다. 중학교 3학년 영어 수준별 이동 수업의 상위그룹 학생들 중 상호적인 짝 활동을 통한 학습을 실시한 그룹은 개별적인 문제해결을 통한 학습을 한 그룹보다 학습자의 영어에 대한 흥미도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즉, 짝과 정보를 공유하고 문제해결을 같이 함으로써 친숙하고 허용적인 분위기에서 언어 연습의 기회를 많이 가지게 되고 협동심을 발휘한 결과 성취감도 맛 볼 수 있으므로, 학습에 대한 분위기가 편안해지고 영어에 대한 접근이 긍정적으로 바뀌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짝 활동을 통한 수업은 영어에 대한 불안도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중학교 3학년 영어 수준별 이동수업의 상위그룹 학생들 중 상호적인 짝 활동을 통한 학습을 실시한 그룹은 개별적인 문제해결을 통해 학습을 한 그룹보다 학습자의 영어에 대한 불안도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짝 활동을 통한 협력적인 분위기를 통해 영어시간의 실수에 대한 불안감이 많이 낮아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짝 활동은 문제해결 과정에서와 결과에 대하여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으며 교사가 제공하는 피드백보다 동료를 통한 피드백으로 학습자의 언어적 자아가 가진 자존감을 해칠 우려가 적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짝 활동을 통한 학습은 심리적 부담감이 많이 낮아지게 함을 알 수 있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2. 연구의 가설 4
1.3. 연구의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5
2.1. 짝 활동 5
2.1.1. 짝 활동의 개념 및 필요성 5
2.1.2. 짝 활동의 장점 8
2.2. 사회적 구성주의 10
2.2.1. 구성주의와 짝 활동 10
2.2.2. 상호작용가설과 짝 활동 13
2.2.3. 불안감과 짝 활동 15
2.3. 선행연구 17
Ⅲ. 연구 방법 20
3.1. 연구 대상 20
3.2. 실험 설계 20
3.3. 측정 도구 21
3.3.1. 학업 성취도 검사 21
3.3.2. 정의적 측면 검사 21
3.4. 실험 절차 23
3.4.1. 사전검사 23
3.4.2. 실험처치 23
3.4.3. 수업방식 24
3.4.4. 사후검사 27
3.4.5. 자료처리 27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28
4.1. 짝 활동과 영어 학업성취도 28
4.1.1. 영어 학업성취도 사전검사 28
4.1.2. 영어 학업성취도 사후검사 29
4.1.3. 영어 학업성취도 결과 변화 30
4.2. 짝 활동과 학습자의 흥미도 및 불안도 31
4.2.1. 흥미도 검사 32
4.2.2. 불안도 검사 35
4.2.3. 흥미도 통계분석 39
4.2.4. 불안도 통계분석 43
Ⅴ. 결론 및 제언 47
5.1. 결론 47
5.2. 제언 48
참고문헌 50
부록 5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