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성인 학습자의 학습 갈등에 관한 연구 : 학위 과정 참여자의 갈등 인식을 중심으로

초록/요약

이 연구는 성인 학습자들이 학습 상황 속에서 인식하는 학습 갈등은 무엇이며, 그 갈등의 유형별 양상은 어떠한가를 살펴보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그 동안의 학위 과정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은 대체로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생존과 성장을 위해 무언가 학습하려는 활동에 주목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학위 과정의 성인 학습을 개인의 독특한 생활 세계 가운데 주어지는 시·공간의 제약적 배움의 과정으로 보았고, 성인 학습자의 갈등 인식은 불가피하다는 시각을 가지고 연구에 접근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성인 학습자들은 학위 과정 참여에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는가? 둘째, 학위 과정에 참여중인 성인 학습자는 학습 갈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이들이 인식하는 갈등의 유형별 양상은 어떠한가? 연구문제의 답을 얻고자 질적 연구 방법 중 심층 면담 기법을 선택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은 학위 수여 기관(전문대학, 4년제 대학, 대학원)에 재학 중인 만 30세 이상의 성인 학습자들로 구성되었고, 이들과의 개인 심층 면담은 2009 5월 14일부터 6월 3일까지 이루어졌다. 면담 내용을 분석하고 해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성인 학습자의 학습 갈등의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 이들이 학위 과정에 부여하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들에게 학위 참여란 첫째, 학위 취득이라는 목적이 수반된 ‘학력 상승과 사회적 인정’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고 둘째, ‘채워지지 않은 것들에 대한 충족’의 의미 셋째, 새로운 인생을 향한 본격적 행보의 시작이자 다음 단계로 나아가는데 필요한 디딤돌로서 ‘또 다른 인생의 준비과’정이라는 의미가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 성인 학습자가 인식하는 학습 갈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성인 학습자의 학습 갈등 요인을 내부 성향적, 외부 상황적 요인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성인 학습자의 학습 갈등의 내부 성향적 요인으로는 ‘학습 자체에 대한 고충’ 과 ‘학습자의 심리 및 성향에 따른 어려움’으로 나타났으며, 외부 상황적 요인으로는 ‘학업과 삶의 충돌’과 ‘제공된 교육에 대한 실망’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성인 학습자는 학업에 다양하며 복합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으며, 이는 학습 갈등을 극복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기도 하였다. 성인 학습자들이 학위 과정에 부여하는 다양한 의미들을 고려할 때 성인의 학습은 전형적 교육 목표를 넘어서는 다차원적 학습이어야 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학위 과정 중의 성인 학습자의 학습 갈등은 개인의 내면 및 생활 세계에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성인 학습자의 내부 성향적 요인은 간과해서는 안 될 학습자의 특성이라는 것과 이들의 학습은 직업경험, 생활 경험, 학습 경험 등의 제반 경험에 기초한 배움의 과정이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성인 학습자들은 갈등 상황에 직면할 경우 대응방안을 모색하거나 자기 성찰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성인 학습자는 갈등 상황을 인식할 때에 환경이나 자신을 변화시키는 방향으로 해결책을 찾고자 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론은 성인학습자가 인식하고 있는 학습 갈등을 성인 학습자의 관점에서 들여다봄으로써 이들의 학습 상황에 대한 실제적 이해를 도모하였다는 것에 그 의미를 갖는다.

more

목차

목 차

국문 초록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3
3. 용어의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6
1. 성인 학습자 6
2. 학위 과정의 성인 학습자 10
3. 성인 학습자의 학습 갈등 17

Ⅲ. 연구 방법 20
1. 연구 대상 21
2. 연구 절차 26
3. 연구 분석 방법 31

Ⅳ. 연구 결과 33
1. 성인 학습자의 학위 과정 참여 의미 33
2. 성인 학습자의 학습갈등(I): 내부 성향적 갈등 유형 44
3. 성인 학습자의 학습갈등(II): 외부 상황적 갈등 유형 58

Ⅴ. 요약 및 결론 69
1. 요약 69
2. 결론 및 논의 71


참고문헌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