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학교 통합학급 일반학생의 특수아수용태도에 미치는 변인 연구

초록/요약

본 연구는 중학교 통합학급 일반학생의 특수아수용태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시에 있는 M중학교 1, 2, 3학년 4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자료를 통계분석 하였다. 통합학급에서 함께 생활하고 있는 중학생들이 성별에 따라 일반학생의 특수아수용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자아개념,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이 일반학생의 특수아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일반학생의 특수아수용태도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긍정적인 경향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 개념,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모두 특수아수용태도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갖는다. 하위영역별로는 자아개념의 하위영역인 학문적 자아개념, 중요타인자아개념, 정의적 자아개념 모두 특수아수용태도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특수아수용태도와 상관이 제일 높은 하위영역은 학문적 자아개념이다. 자아존중감의 하위영역인 학업 및 전반적 자아, 친구관련 자아, 가정적 자아, 신체외모 자아, 성격적 자아, 신체능력 자아, 교사관련 자아 중 학업 및 전반적 자아, 친구관련 자아, 가정적 자아, 신체외모 자아, 교사관련 자아는 일반학생이 특수아에 대한 수용태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나 성격적 자아, 신체능력 자아는 상관이 없으며 신체외모 자아와 일반학생의 특수아수용태도가 가장 상관이 높게 나왔다.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인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일반학생의 특수아수용태도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자아개념,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이 일반학생의 특수아수용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 끝으로 특수아 교육에 있어서 사회성 발달은 중요하다. 통합교육을 통한 특수아의 사회성 발달 촉진은 통합교육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혜택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통합교육이 교육적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실제 생활 장면에서 특수아와 일반학생들 간의 적절한 대인관계를 통하여 자연스런 상호작용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 일반학생의 개인 특성인 자아개념,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을 증진하여 특수아에 대하여 더욱 긍정적이고 수용적이며 적극적인 수용태도를 갖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통합학급에서 일반학생과 특수아의 사회적인 통합을 이루기 위하여 바람직한 상호작용을 형성할 수 있는 개인 특성을 발전시키고, 교육현장에서 특수아와 일반학생 모두에게 긍정적인 경험을 줄 수 있는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는데 그 의의가 있다.

more

목차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문제
2. 이론적 배경
1). 통합학급
2). 일반학생의 특수아수용태도
3). 자아개념
4). 자아존중감
5). 자기효능감
3.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자료 수집
4). 자료 분석
4. 연구 결과
1). 남녀에 따른 일반학생의 특수아수용태도의 차이
2). 자아개념,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과 일반학생의 특수아수용태도와의 관계
3.) 자아개념,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이 일반학생의 특수아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4. 결론 및 논의
1). 요약 및 결론
2). 논의 및 제언
참고 문헌
부록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