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동화를 활용한 기독교 품성교육이 유아의 도덕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자아 존중감과 조망수용능력을 중심으로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동화를 활용하여 기독교 품성교육을 실시하여 이것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타인이해하기를 중심으로 도덕성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동화를 활용한 기독교 품성교육이 유아의 도덕성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1 동화를 활용한 기독교 품성교육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형성에 어떠 한 영향을 미치는가? 1-2 동화를 활용한 기독교 품성교육이 유아의 타인이해하기 능력에 어 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 문제를 검정하기 위한 연구 대상은 경기도 S시에 있는 N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반의 유아 46명이며, 이 중 23명은 자아존중감과 조망수용능력을 중점적으로 다룬 동화를 통한 기독교 품성교육을 실시하는 실험집단으로, 나머지 23명은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동화를 활용한 기독교 품성교육이 유아의 도덕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비교?분석해 본 결과, 도덕성 발달에서 동화를 활용한 기독교 품성 교육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덕성 발달 중 ‘자아존중감’에 대한 실험집단의 평균점수는M=93.22이고 통제집단의 평균점수는 M=84.83으로 실험집단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p<.0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덕성 발달 중 ‘조망수용능력(타인이해하기)에 대한 실험집단의 평균점수는 M=87.94이고 통제집단의 평균점수는 M=70.35으로 실험집단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p<.0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동화를 활용한 기독교 품성 교육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유아들의 도덕성 발달이 통제집단 보다 높게 나타난 것은 동화를 활용한 기독교 품성 교육이 유아들의 도덕성 발달(자아존중감, 조망수용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동화를 활용한 기독교 품성교육이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들의 수준에 적합한 활동을 구성하여 제시되고, 훈련된 교사에 의해 교육이 실시된다면 유아를 위한 도덕교육의 방법으로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ore

목차

(국문초록) = iv
I.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2. 연구문제 = 4
3. 용어의 정의 = 4
가. 도덕성 = 4
나. 자아존중감 = 5
다. 조망수용능력(타인이해하기 = 5
라. 품성 = 5
4. 연구의 제한점 = 6
II. 이론적 배경 = 7
1. 유아기의 도덕성 발달과 도덕교육 = 7
가. 도덕성 개념 = 7
나. 도덕 교육의 내용 = 9
2. 자아존중감 = 13
가. 자아존중감의 개념 = 13
나. 자아존중감의 발달 = 15
다. 자아존중감의 중요성 = 19
3. 조망수용능력(타인이해하기) = 22
가. 조망수용능력의 개념 = 22
나. 조망수용능력의 발달 = 23
4. 동화를 통한 기독교 품성 교육 = 25
III. 연구방법 = 29
1. 연구대상 = 29
2. 측정도구 = 29
3. 연구절차 = 30
가. 동화선정 = 30
나. 예비검사 = 35
다. 교사훈련 = 35
라. 실험처치 = 36
4. 자료처리 = 38
IV.연구결과 = 39
1. 사전검사 = 39
2. 사후검사 = 40
Ⅴ. 결론 및 제언 = 42
1. 결론 = 42
2. 제언 = 44
참고문헌 = 45
부록 = 50
표·그림 목차 = 11
〈표-1〉 Kohlberg의 도덕 발달 단계가 기독교 교육에 주는 시사점 = 11
〈표-2〉 기독교 교육의 덕목 및 내용 = 27
〈표-3〉 연구 절차와 실험기간 = 30
〈표-4〉 선정된 동화와 성령의 9가지 덕목 = 32
〈표-5〉 자아존중감 연구도구로 선정된 동화 = 33
〈표-6〉 조망수용능력(타인이해하기) 연구도구로 선정된 동화 = 34
〈표-7〉 실험집단 활동계획안 = 37
〈표-8〉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도덕성 발달 사전 검사 비교 = 39
〈표-9〉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의 도덕성 발달 사후 검사 비교 = 4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