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읽기 형 영상콘텐츠를 활용한 교수·학습방안 : 소설 <술 권하는 사회>를 중심으로

초록/요약

본고는 영상매체 교육이 국어교육에 수용되어야 한다는 전제 아래, 읽기 형 영상텍스트를 활용한 교수·학습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교육현장에서 행해지는 드라마나 영화 등 영상매체를 활용한 국어교육은 학생들의 집중도도 높이고,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으며, 효율적인 작품의 감상을 도울 수 있는 교수매체이다. 그러나 보완해야 할 세 가지 측면을 발견하였다. 첫째는 영상물이 만들어져 있지 않은 작품은 영상매체 활용이 불가능 하다는 점, 둘째는 교육현장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영상물은 장시간의 영상물로써 상당한 분량의 교육시간을 낭비하게 된다는 점, 셋째는 교과서에 작품의 전문이 실려 있지 않은 경우에는 학생들의 이해를 위한 읽기 형 영상콘텐츠의 필요성이 증대되었다는 점이다. 읽기 형 영상콘텐츠는 기존에 만들어진 영상물(드라마나 영화, 애니메이션 등)을 교수매체로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교과 성격과 학습목표에 맞는 교육용 영상물을 제작하여 교수매체로 활용하는 콘텐츠를 뜻 한다. 가급적 말을 배제하고 영상, 음악과 함께 문자텍스트를 주도적으로 활용해 짧은 시간대에 핵심적 지식정보나 메시지의 전달, 감상을 꾀하는 새로운 방식의 영상콘텐츠이다. 이것은 컴퓨터를 잘 다루는 능력을 요구하는 것도 아니고 일상생활에서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콘텐츠이다. 인터넷을 이용해 사진과 음악을 수집 한 후 Window Movie Marker라는 동영상제작 도구를 이용해 간단한 편집으로 하나의 교육용 영상콘텐츠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제작뿐만 아니라 기존의 긴 영상물을 교육시간에 맞게 편집 할 수도 있기에 교육현장에서 탁월하게 사용될 수 있다.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더 높은 학습효과를 기대하기에 앞서 학생들의 문화와 흥미에 맞는 교재연구를 해야 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에 실려 있는 현진건의 소설 『술 권하는 사회』를 선택하여 읽기 형 영상콘텐츠를 활용한 교수·학습방안을 제시하였다. 읽기 형 영상콘텐츠는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 할 뿐만 아니라 영상텍스트를 읽게 함으로써 소설 속의 문제의식도 알게 해주고, 교과서에 생략되어 있는 줄거리도 감상 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교육적 효율성을 도모한다. 다매체 사회 속에서 다양한 매체를 배제한 교육은 불가능해졌고 실제로 지금의 교육현장에서도 여러 매체와 관련한 교육이 보편적 환경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는 제 7차 교육과정을 보아도 알 수 있는데 고등학교 ‘문학’과목에서는 문학과 교육을 바라보는 포괄적 관점변화를 강조하여 ‘문학과 문화’ 영역을 별도로 설정하였다. 문학과 문화영역에서 구체적으로 문학의 가치와 전통을 이해하고 문학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문학과 문화의 발전에 기여하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아울러 문학이 매체 환경의 변화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으며 문학이 다른 매체와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음을 말하고 있다. 바람직한 문학교육을 위해서는 학생들의 생활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교육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문화를 향유하는 능력을 신장시켜 주어야 할 것이다.

more

목차

Ⅰ. 서론 = 1
1. 연구목적 = 1
2. 연구사 검토 및 연구내용 = 3
Ⅱ. 영상매체와 = 국어교육
1. 교육패러다임의 변화 = 8
2. 영상매체의 개념 = 10
3. 영상매체의 활용과 국어 교육적 의의 = 13
4. 읽기 형 영상콘텐츠의 필요성 = 16
Ⅲ. 읽기 형 영상콘텐츠 제작 = 19
1. 제작 목적 = 19
2. 제작 사례 = 22
2.1 스토리보드 = 22
2.2 읽기 형 영상콘텐츠 작품설명 = 23
Ⅳ. 읽기 형 영상콘텐츠를 활용한 교수·학습방법 = 28
1. 교수·학습모형 = 28
1.1 매체활용 모형 = 28
1.2 수업절차 모형 = 30
2. 수업 설계 = 31
2.1 계획단계 = 31
2.2 진단단계 = 32
2.3 지도단계 = 33
2.4 평가단계 = 35
2.5 내면화 단계 = 36
Ⅴ. 소설 『술 권하는 사회』교수·학습실제 = 37
1. 계획 단계 = 37
2. 진단 단계 = 44
3. 지도 단계 = 47
4. 평가 단계 = 51
5. 내면화 단계 = 52
Ⅵ. 결론 = 54
<참고 문헌> = 5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