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문학적 접근을 통한 수학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초록/요약

본 연구는 문학적 접근을 통한 수학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 문학적 접근을 통한 수학교육 및 효과적인 수 지도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Ⅰ. 문학적 접근을 통한 수학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Ⅰ-1. 문학적 접근을 통한 수학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의 하위영역 중 ‘분류하기와 순서 짓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Ⅰ-2. 문학적 접근을 통한 수학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의 하위 영역 중 ‘수의 기초 개념 이해하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Ⅰ-3. 문학적 접근을 통한 수학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의 하위 영역 중 ‘공간에 대한 기초 개념 알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Ⅰ-4. 문학적 접근을 통한 수학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의 하위 영역 중 ‘통계와 관련된 경험하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A시에 소재한 시립어린이집 만5세 두 학급을 실험집단과 비교 집단으로 각각 임의배정 하였으며 실험 집단 18명과 비교 집단 18명으로 총 36명이었다. 실험집단과 비교 집단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대한 사전검사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두 집단을 동질집단으로 가정할 수 있었다. 실험 집단은 어린이집 교육과정에 따라 2007년 10월 1일부터 11월 2일까지 매주 5회씩 5주간 총 25회 문학적 접근을 통한 수학활동을 실시하였으며, 비교 집단은 같은 기간 동안 교사 주도적인 수학교육 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검사도구는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을 측정하기 위해 제 5차, 6차 유치원 교육과정(1994, 교육부)과 3,4,5세 유아를 위한 ‘수학 교육과정 모델 개발의 준거’에 기초하여 김현주(2000)가 제작한 도구를 본 연구자가 수정 ·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사전과 사후 검사 후 수집된 자료는 SPSS Program으로 집단간 t검증을 실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학적 접근을 통한 수학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을 비교·분석해 본 결과, 수학교육에서의 문학적 접근을 실시한 실험 집단이 교사 주도적인 수학활동을 실시한 비교 집단보다 수학적 문제해결력에서 유의하게 증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적 문제해결력의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수의 기초 개념 이해하기’와 ‘통계와 관련된 경험’에서 실험 집단이 비교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학적 문제해결력의 하위 영역 중 ‘분류와 순서 짓기’와 ‘공간에 대한 기초 개념 알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문학적 접근을 통한 수학 활동이 교사 주도적인 수학활동보다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문학적 접근을 통한 수학활동은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ore

목차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문제 = 6
3. 용어의 정의 = 7
가. 문학적 접근을 통한 수학 활동 = 7
나. 수학적 문제해결력 = 7
4. 연구의 제한점 = 8
Ⅱ. 이론적 배경 = 9
1. 유아 수학교육의 목적 및 내용 = 9
2. 유아 수학교육의 방법 = 12
가. 문학적 접근을 통한 유아수학교육 = 12
나. 문학적 접근을 통한 수학활동의 교육적 가치 = 17
다. 문학적 접근을 통한 수학교육과 수학적 문제해결력 = 20
3. 유아 수학 교육을 위한 문학 작품의 활용방법 = 22
Ⅲ. 연구 방법 = 24
1. 연구 대상 = 24
2. 연구 도구 = 25
가. 수학적 문제해결력 검사 = 25
3. 연구 절차 = 28
가. 동화 선정 = 30
나. 예비 = 32
다. 교사 훈련 = 32
라. 사전 검사 = 33
마. 실험처치 = 34
바. 사후검사 = 43
4. 자료처리 = 43
IV. 결과 및 논의 = 44
1. 문학적 접근을 통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45
가. 분류하기와 순서 짓기 = 46
나. 수의 기초 개념 이해하기 = 47
다. 공간에 대한 기초 개념 알기 = 47
라. 통계와 관련된 경험하기 = 48
Ⅴ. 요약 및 결론 = 50
1. 요약 및 결론 = 50
2. 제언 = 52
참고 문헌 = 54
부록 1. 수학적 문제 해결력 검사 도구 = 5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