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평생교육종사자의 직무수행과 수행정도 비교분석

  • 주제(키워드) 평생교육종사자+직무수행
  • 주제(KDC) 370
  • 주제(DDC) 370
  • 발행기관 아주대학교
  • 지도교수 최운실
  • 발행년도 2007
  • 학위수여년월 2007.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평생교육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국 문 초 록 평생교육종사자의 직무수행과 수행정도 비교분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평생교육전공 이 은 숙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평생교육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평생교육종사자의 직무수행과 수행정도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문제로 첫째, 평생교육종사자의 직무수행 중요성 인식 및 수행 정도 차이가 있는가? 둘째, 평생교육종사자의 직무수행에 대한 수행정도에 차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셋째, 평생교육사종사자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헌신도에 미치는 개별요인의 영향력은 무엇인가? 로 설정하고, 연구방법으로 평생교육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실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경기도 및 인천광역시 평생교육기관종사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평생교육사 93명, 비 평생교육사 140명 이었다. 설문지의 내용은 요구조사 및 분석 업무 7문항, 기획 업무 9문항, 개발 및 홍보 업무 9문항, 운영 및 관리 업무 20문항, 평가 업무 11문항,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노력, 태도 및 업무 헌신도에 관한 1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지 총 400부를 배포하여 회수된 유효한 자료 233부를 대상으로, 자료 분석의 통계적 처리를 위해 Excel 및 SPSS(Ver. 12.0)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사용된 통계적 방법은 기술통계 분석과 t검정, 일원분산분석, 회귀분석(최적화척도)이었으며 기술통계 분석은 Excel을 사용하였고 T-test, 일원분산분석, 회귀분석(최적화척도)은 SPSS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인 평생교육종사자의 직무수행 중요성 인식과 수행정도 비교에서는 평생교육사가 비 평생교육사에 비해 직무수행 중요성 인식정도가 가장 높고, 평생학습관 종사자가 기획업무를 중요시 하며, 경력이 많을수록 운영 및 관리의 업무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수행정도가 높게 나타나 평생교육사가 비 평생교육사에 비해 평생교육의 현장에서 평생교육 직무에 대하여 헌신적으로 임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평생교육종사자의 직무수행의 중요성 인식과 수행정도 차이에 있어서 평생교육사는 기획업무의 차이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비 평생교육사는 요구 및 분석업무, 기획업무, 노력 태도 및 업무헌신도 대한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실제 업무에서 평생교육사 보다 비 평생교육사가 직무수행 중요성 인식과 수행 능력 간에 차이가 높음이 드러나 평생교육 실제 현장에 평생교육사의 적극적 배치로 직무수행과 수행정도 차이의 격차를 줄일 수 있음이 나타났다. 세 번째 연구문제인 평생교육종사자의 직무수행의 중요성에 있어서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업무 헌신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는 평생교육사는 주로 평가업무를 담당하며, 평가업무 다음으로 운영 및 관리업무를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헌신도를 높이는 개별적 요인으로 인식하며, 비 평생교육사는 주로 운영 및 관리업무를 담당하고, 운영 및 관리업무 다음 평가업무 순으로 업무능력 향상을 위한 헌신도를 높인다고 나타남으로써, 평생교육기관종사자의 업무가 평생교육에 대한 평가업무와 운영 및 관리업무가 평생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는 평생교육종사자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연수과정에서 평가업무와 운영 및 관리업무를 강화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more

목차

목 차
Ⅰ. 서론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2
3. 용어의 정의 3

Ⅱ. 이론적 배경 4
1. 평생교육종사자의 직무 4
2. 평생교육종사자의 전문성 12
3. 선행연구 분석 17

Ⅲ. 연구방법 21
1. 연구 설계 21
2. 영역별 구성 문항 및 기초 통계량 27
3. 신뢰도 및 타당도 28

Ⅳ. 연구결과 및 논의 30
1. 직무수행 중요성 인식 및 수행정도 비교 30
2. 직무수행 중요성 인식과 수행정도 차이 40
3. 직무 헌신도에 미치는 개별요인의 영향력 46

Ⅴ. 결론 및 제언 59
1. 요약 59
2. 결론 및 제언 60

참고문헌 62
부록(설문지) 6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