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노인의 영적안녕과 죽음에 대한 지각적 태도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주제(키워드) 노인의 죽음불안
  • 주제(KDC) 350
  • 주제(DDC) 351
  • 발행기관 아주대학교
  • 지도교수 노치영
  • 발행년도 2007
  • 학위수여년월 2007.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공공정책대학원 행정학과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의 관점에서 죽음불안에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그들의 죽음에 대한 지각적 태도가 죽음불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노인의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는 기초 자료가 되며 나아가 노인 대상의 죽음준비 교육 내용 구성에 있어서 죽음극복을 위한 보호 요인들로 제시될 수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경기 및 부산 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남녀 노인들을 대상으로 총 193부명 (남자82명, 여자111명)을 설문 및 면접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대상 노인들 중 죽음을 누구나 맞이하는 자연스런 현상이고 천국생활의 시작이라는 정의에 동의한 노인들이 죽음불안 정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면 자신의 죽음에 대해 많이 생각하는 노인들, 홀로 남은 가족에 대한 염려와 사랑하는 사람들과의 이별에 대한 염려가 많은 노인들, 그리고 자신의 죽음에 대해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있지 않은 노인들이 죽음에 대한 불안 정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둘째, 본 연구 대상 노인들은 전반적으로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좋은 편이며 삶에 대해서도 만족도가 높고 영적인 안녕감도 양호하며, 사회와 연결되어 있다고 느끼는 편이며, 부부간의 정서적 상호작용이나 가족의 건강성이 중간이상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인구학적 특성으로 직업유무, 연령, 혼인상태, 교육수준, 한달용동 등은 통계적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현재 누구와 함께 살고 있는지, 자신의 경제수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그리고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따라서 죽음불안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죽음불안에 미치는 주요변인들과 죽음불안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영적 안녕감 변인 중 종교적 영적 안녕감 변인만이 죽음불안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교적 영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죽음에 대한 불안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로 밝혀진 것을 토대로 하여 제언하자면, 노인이 죽음에 대해 보다 수용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는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죽음에 대하여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이야기 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노인들이 자신들의 죽음에 가까이 다가갈 수 있을 때 죽음 불안이 완화 될 수 있을 것이다. 노인문제가 사회문제라는 측면에서 노인들의 정서적, 경제적, 신체적 부양책임을 가족에게 전담한다는 것은 커다란 부담이다. 노인부양에 대한 부담은 가족관계를 악화시킬 수 있고, 노인에게 충분한 지지와 지원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죽음불안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노인을 부양하는 가족을 위해 개인과 가족의 경제적 사정에 따라 비용체계를 다양하게 하는 방안과 국가의 복지비용이 효율적으로 사용되도록 하는 정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종교적 영적 안녕감이 높은 노인들이 죽음에 대한 불안이 적게 조사되었으며 그 이유는 죽음에 대해 수용적인 태도를 갖게 해주고 죽음 불안을 낮추어 주는 것이 종교 그 자체 보다 죽음에 대한 신념의 확실성으로 영적 안녕감을 갖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따라서 노인들에게 종교가 갖는 사회적 상호작용에 기회를 줌으로써 죽음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more

목차

논문개요
I. 서론 1
II. 이론적 배경 4
1. 노인의 개념 및 특성 4
2. 죽음에 대한 이해 6
3. 노인의 죽음에 대한 의미와 태도 11
4. 노인의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16
III. 연구문제 23
IV. 연구방법 27
1. 연구 설계 27
2. 연구 대상 27
3. 측정도구의 구성 32
4. 자료 분석 방법 35
V. 연구 결과 및 논의 36
1. 노인의 죽음 불안에 대한 지각적 태도와 죽음 불안과의 관계 36
2. 노인의 죽음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1
VI. 결론 및 제언 59
참고문헌 64
부록 6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