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일차적 관상동맥 중재시술을 시행받은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서 심혈관 조영술 상 경색관련 관상동맥의 TIMI Myocardial Perfusion Grade와 심근 생존능 및 6개월 추적관찰 시 좌심실 기능개선과의 연관성

Comparison Between TIMI Myocardial Perfusion Grade and Microvascular Indexes, Myocardial Viability, Improvement of LV Function After Primary PCI in STEMI

초록/요약

- 국문요약 - 일차적 관상동맥 중재시술을 시행받은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서 심혈관 조영술 상 경색관련 관상동맥의 TIMI Myocardial Perfusion Grade와 심근 생존능 및 6개월 추적관찰 시 좌심실 기능개선과의 연관성 배경 및 목적: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서 미세혈관의 손상정도 및 심근의 생존능은 환자의 예후에 매우 중요한 인자라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서 성공적인 일차적 관상동맥 중재시술 후 심도자실에서 간단히 평가할 수 있는 관상동맥 조영술 상의 TMPG가 미세혈관 손상을 나타내는 관상동맥의 혈역학적 지수들, FDG-PET 영상으로 평가한 심근의 생존능, 심초음파 상 좌심실의 구혈율 및 좌심실의 벽운동 장애 지수 등과 연관성이 있는 지와 단기 추적검사 시 TMPG가 좌심실의 기능 호전을 예측하는데 유용한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흉통 발생 후 24시간 이내에 일차적 관상동맥 중재시술을 받은 4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했으며, 성공적인 관상동맥 중재시술 후 심도자실에서 TMPG를 평가하여 세군으로 분류했다(Group 1=TMPG 0/1, Group 2=TMPG 2, Group 3=TMPG 3). 심근경색과 연관된 관상동맥 내로 0.014 inch 도플러 유도철선을 위치시킨 후 관상동맥 혈류예비력 및 DDT를 측정하였고, 0.014 inch 압력철선을 병변의 원위부에 위치시킨 후 관상동맥 쐐기압 및 Pcw/Pa를 측정하였다. 관상동맥 중재시술 1주일 후에 FDG-PET 영상을 촬영했으며, FDG 흡수율이 50% 이상인 경우에 심근의 생존능이 있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심초음파는 입원 시와 약 6개월 뒤 추적검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일차적 관동맥 중재시술 후 심도자실에서 평가한 TMPG와 심근 경색과 연관된 관상동맥에서 측정한 관상동맥 혈류예비력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0.367, p=0.017), group 3에서 관상동맥 혈류예비력이 group 1 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58±0.54 vs 2.18±0.54, p=0.035). 또한 TMPG와 DDT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으며(r=0.587, p<0.001), group 2와 group 3에서 각각 DDT가 group 1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463±237 msec vs 843±212 msec, p=0.001; 463±237 msec vs 840±314 msec, p=0.001). TMPG는 압력철선을 이용하여 평가한 관상동맥 쐐기압(r=-0.513, p<0.001) 및 Pcw/Pa(r=-0.614, p<0.001)와 유의한 상관성이 관찰되었다. 성공적인 중재시술 후 심도자실에서 평가한 TMPG는 심근경색 1주일 후에 촬영한 PET-PET 영상의 FDG 흡수율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0.587, p<0.001), group 2와 group 3에서 FDG 흡수율이 group 1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42.0±12.3% vs 53.9±11.2%, p=0.043; 42.0±12.3% vs 59.3±13.3%, p=0.001). TMPG와 입원 시의 좌심실 구혈율과는 연관성은 관찰되지 않았으나(r=0.305, p=0.062), TMPG와 추적 심초음파 검사에서 심구혈율은 유의한 연관성이 관찰되었다(r=0.493, p=0.003). TMPG와 심초음파 상 심근의 벽운동 장애 지수는 입원 시 및 추적관찰 검사에서 모두 유의한 연관성이 관찰되었다(r=-0.371, p=0.02; r=-0.506, p=0.002). 입원 시와 추적 심초음파 검사에서 심구혈율은 group 3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으나(53.4±9.9% vs 60.0±7.0%, p=0.004), 심근의 벽운동 장애 지수는 group 2와 group 3에서 모두 유의하게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1.44±0.26 vs 1.24±0.18, p=0.022; 1.35±0.26 vs 1.15±0.18, p=0.018). 결 론: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서 성공적인 일차적 관상동맥 중재시술 후 심도자실에서 평가한 TMPG는 초기의 심근의 손상정도 뿐 아니라 심근의 생존능 및 좌심실 기능의 호전, 환자의 예후를 평가할 수 있는 간단하면서 유용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more

목차

차 례

국문요약 ⅰ
차례 iv
그림 차례 v
표 차례 vi
약어 vii
Ⅰ. 서론 1
Ⅱ. 연구대상 및 방법 2
A. 연구대상 2
B. 중재시술 3
C. TMPG 4
D. 도플러 유도철선 및 압력철선을 이용한 심근의 미세혈관 기능 평가 4
E. PET 5
F. 심초음파를 이용한 좌심실의 기능평가 6
G. 통계분석 6
Ⅲ. 결과 6
A. 임상적 특성 6
B. 관상동맥 조영술 결과 10
C. TMPG와 microvascular integrity 10
D. TMPG와 FDG 흡수율 14
E. TMPG와 심초음파 결과 16
Ⅳ. 고찰 19
Ⅴ. 결론 24
참고문헌 25
ABSTRACT 3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