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고층 공동주택의 설계요소에 관한 연구

An Architectural Design Factors for Highrise Apartment Housing to Enhence Quality of Life

  • 주제(키워드) 거주만족도 , 삶의 질
  • 발행기관 아주대학교
  • 지도교수 제해성
  • 발행년도 2006
  • 학위수여년월 2006.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건축학과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1970년대 후반 이후 산업화, 도시화의 영향으로 공동주택의 보급률은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2001년 국내 공동주택의 보급수는 약 550만 가구로 이는 국내 전체 주택의 47.8%에 이른다. 공동주택은 쾌적한 주거 환경조성과 효율적인 주거생활을 목표로 고층화와 단지화로 진행되었으며 수도인 서울을 중심으로 위성도시의 아파트 단지화가 꾸준히 이루어졌다. 그러나 꾸준히 진행된 고도성장의 후유증으로 인하여 공동주택의 거주환경의 질은 도시환경의 질의 악화와 함께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2010년 기준으로 기존주택의 상당수가 건축년한이 20년이 경과되어 주택의 노후, 불량화가 불가피하게 될 것으로 보이는데 특히, 노후 공동주택이 밀집된 대도시의 경우 이에 대한 적절한 관리 및 정비정책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하겠다.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라는 것은 거주자의 의견을 수렴하고 보완하여 공동주택에 대한 계속적인 관리를 행하는 것으로 이것은 새로운 주거환경을 제공하는 것만큼이나 시급한 일이라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는 거주환경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공동주택의 유지관리를 통한 수명연장의 한 방법으로 공동주택 거주자가 느끼는 만족도에 가능한 접근하여 그 결과를 추후 공동주택 계획시 반영하도록 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진행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조사를 통하여 공동주택 계획 및 거주만족도 항목을 분석, 종합하여 4개 그룹의 68개 항목을 추출하였다. 둘째, 추출된 공동주택 계획항목에 대하여 만족도 및 중요도에 대한 거주자의 의견을 살펴보았다. 대상단지는 입주년도, 층 수, 시공사 등을 고려하여 서울 시내 4개 단지를 선택하였으며 조사자의 개별방문에 의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셋째, 설문을 통하여 얻어진 데이터는 주거계획요소 항목별 만족도와 중요도의 비교분석을 통한 개선우선항목의 발견과 거주지전체만족도와 세부만족도 간의 관계분석을 통한 영향정도 파악의 2가지를 목적으로 SPSS 10.1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주택 계획 요소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결과 만족도가 높은 항목은 주차공간 > 전력공급상태 > 수도공급상태 > 텔레비전 수신상태 > 조경공간 > 단지내 도로 정체율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공동주택 외부공간 및 기본설비에 관한 항목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비하여 중요도가 높은 항목은 주동 내 누수 정도 > 소음 > 방범수단 > 수돗물의 질 > 자연환기 > 사생활 보호 및 주차공간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단지 외부환경이 아닌 주호 내 환경에 국한된 항목이 주를 이루었다. 이러한 분포는 추후 이뤄진 T검정을 통한 개선항목 우선순위 분석에서도 나타났으며 이를 통하여 거주자들이 거주만족을 판단함에 있어서 1차적으로 영향을 받는 부분이 가장 오랜 시간을 보내게 되는 세대 내 환경이라는 추측을 할 수 있다. 둘째, 만족도와 중요도의 차이를 통한 개선 우선항목을 파악한 결과 생리적 요구 중 건강, 안전, 기능적정성, 건물 내 습도, 내부 마감재의 신체적 영향정도, 바람 및 비에 대한 창문의 견고성, 소방시스템 설치 등의 항목들이 추후 공동주택 계획시 시급히 보완되어야 할 사항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거주지 전체 만족도와 대부분의 세부 거주 만족 항목은 피어슨계수 0.2 이상으로 어느 정도 상관성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그 중, 피어슨 계수 0.2 이하로 상관성이 매우 약하다고 판단되는 주차공간의 적정성, 세대 내 발코니 녹화, 근린상가의 인접, 수돗물의 질, 전력공급상태는 추후 이뤄진 다중회귀분석에서 거주지 전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거주지 전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각 그룹별 중요도와 세부 만족도 항목의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생리적 요구 > 사회적 요구 > 정신적 요구 > 경제적 요구의 순으로 영향정도가 나타났다. 이는 위에 언급하였던 개선 우선 항목 및 상관성 분석의 결과와 같은 것으로 생리적 요구에 관련된 공동주택 계획항목의 개선이 거주자의 삶의 질 향상에 1차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각 그룹별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항목으로는 주동 마감재의 견고함, 주동 색채선정, 노인복지 시설의 제공, 주호 내 실 배치의 공간활용성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결과 주목할만한 사실은, 정신적 요구 중 주동 색채 및 정면과 측면 디자인, 주동 높이에 대한 거주만족도가 전체 거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사실인데 이는 지금까지의 공동주택 거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기존 항목들이 단지 내 외부공간 및 주차시설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을 볼 때 고층 공동주택 거주만족도 만의 특성이라고 추측된다. 또한, 주호 내 개구부량에 대한 항목은 기존 연구에서의 환기 및 통풍, 채광과 관련된 항목에서 매우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던 것으로 추후 연구에서는 개구부량의 차이로 인한 자연환기 및 채광 정도에 대한 고층 공동주택 거주자들의 요구정도와 그 변화에 따른 거주지 전체 만족도에의 영향정도에 대한 연구가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 외 수납공간, 방위, 건물 내 습도, 방범시설, 사생활 보호의 항목들은 기존 공동주택 거주만족도에서의 분석과 동일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거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고층 공동주택 계획요소는 아직까지 거주만족도를 중심으로 한 공동주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가 거의 없어 계획방안을 제안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많은 수의 항목을 한정된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분석하여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고층 공동주택 계획요소에 관한 선행연구가 전무한 배경 하에 거주질의 향상을 위한 공동주택 계획요소를 정량적 측정이 아닌 거주자 중심의 항목 위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키워드: 거주만족도, 삶의 질, 거주중요도, 공동주택 계획요소

more

목차

제 1 장 서 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 문제 - 2
1.3 연구 방법 및 내용 - 3
1.4 용어 정의 - 3

제 2 장 이론적 고찰 - 5
2.1 공동주택의 주거환경 평가 - 5
2.1.1 공동주택 주거환경 평가의 개념적, 공간적 범위 - 5
2.1.2 공동주택 주거환경 평가의 의의 - 6
2.2 공동주택의 거주후 평가(POE) - 11
2.2.1 공동주택 거주후 평가의 개념 및 범위 - 11
2.2.2 공동주택 거주후 평가의 효용성 - 13
2.2.3 공동주택 거주후 평가의 문제점 - 13
2.2.4 공동주택 거주후 평가 관련 선행연구 - 15
2.2.5 공동주택 거주후 평가 관련 적용사례 - 15
2.3 삶의 질(Quality of Life) - 16
2.3.1 삶의 질(QOL)의 개념 및 범위 - 16
2.3.2 삶의 질(QOL)과 물리적 환경에 대한 개념적 모델 - 18
2.3.3 삶의 질(QOL)에 대한 선행연구 - 20

제 3 장 거주만족 항목 도출 -24
3.1 거주만족 항목 도출 과정 - 24
3.2 공동주택 거주만족 항목 도출 - 26
3.2.1 거주만족 항목 도출 - 26

제 4 장 조사대상 및 방법 -36
4.1 조사도구의 특성 - 36
4.1.1 설문의 특성 - 36
4.1.2 개선우선 필요항목의 개념과 접근방법 - 36
4.2 조사대상의 선정 - 36
4.3 조사방법 및 분석방법 - 36
4.4 조사대상의 특성 - 36

제 5 장 연구결과 - 36
5.1 인증제도 필요여부 및 이유 - 36
5.1.1 인증제도 필요여부 - 36
5.2 조사자료의 기초분석 - 36
5.2.1 그룹별 신뢰도 분석 - 36
5.2.2 단지 전반에 대한 만족도 - 36
5.2.3 빈도분석을 통한 만족도와 중요도 순위 - 36
5.2.4 T검정을 통한 개선 우선항목 파악 - 36
5.2.5 상관관계분석을 통한 거주만족항목의 영향 정도 파악 - 36
5.3 거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건축요소 - 36
5.3.1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거주 전체 만족도와 그룹별 만족도 간의 관계 - 36
5.3.2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그룹별 만족도와 세부 만족도 간의 관계 - 36

제 6 장 결론 -37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