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도시주거지 가로의 일상이용과 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rban Neighborhoods Street Types and Use in Resident's Daily Experience

초록/요약

이 연구의 목적은 주민의 일상생활과 일상행위에 연관된 가로이용을 밝히는 데 있다. 가로유형을 분류하고, 가로유형에 따른 행위의 특성을 파악하여 가로계획을 위한 행위의 자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00년 이후에 나타난 3000세대 이상의 현상설계 당선안 위주로 총 27개의 사례 중 복수의 가로를 선택하여 총 60개의 세부 가로유형을 구분하였고, Work Shop등을 통하여 구분된 총 13개의 가로유형을 도출 하였다. 각 가로 유형별 조사를 위하여 관찰조사 대상지를 선정하였으며, 사례분석 대상지 중 현재 건설되어진 대상지가 용인 새천년 그린빌로 한정된 바 가로유형을 위한 대상지 선정 기준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여러 전문가의 추천을 받아 총 5개 단지(용인 새천년 그린빌, 수원 매탄4 주공 그린빌, 수원 영통 벽적골 단지, 수원 금곡 LG 빌리지, 성남 분당 한솔 마을)를 관찰 대상지로 정하였다. 관찰대상지의 선정을 위한 3차례의 파일럿 테스트와 Driving Through Observation을 통해 13개의 가로유형 중 총 4개의 가로유형은 현재 건설되어진 바 없는 새로운 가로계획 유형임을 확인 할 수 있었고, 따라서 총 9개의 가로유형을 2개 단지에 걸쳐 조사하여 총 18개 가로유형을 조사 하게 되었다.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05년 10월부터 11월 초순까지 진행 되었다. 연구는 주중에 실시하였으며, 조사시간은 가장 외부의 활동이 많다고 판단되는 15:00~18:00 사이에 연구자 3인에 의해 수행 되었다. 총 587개의 행위가 관찰되었고 연구는 행위관찰 자료와 지도 분석, 사진 분석을 함께 실시하였다. 가로유형에 따른 행위빈도의 차이가 있으며, 보행자 전용의 가로와 보차병행의 가로사이의 차이점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보차관계에 의한 주민이용에는 큰 연관성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고 기존의 보차관계에 의한 가로이용행태 분석의 연구에 큰 오류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가로의 보행통행량과 행위빈도를 살펴보았을 때 행위빈도와 통행량과는 상관관계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가로공간에서 사람들의 빈번한 접촉을 유도하여 활력 있는 가로를 만들자는 최근의 현상설계 지침의 내용은 제고의 여지가 있다고 하겠다. 행위의 그룹규모는 전체적으로 4인 이상의 사회적 규모의 행위가 잘 나타나고 있지 않으며 행위의 사회적 성격을 살펴보았을 때도 적극적 사회행위는 26.2%밖에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현재 우리나라 주거지의 가로는 생활의 장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지 못함을 알 수 있다. 행위빈도가 높고 다양한 행위를 하는 가로유형은 행위의 가로사용의 주요 계층이 저 연령층과 가족단의의 행위가 많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가로사용의 주요 계층이 청소년 혹은 성인계층의 행위가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사회적으로 아동이나 가족단위, 성인계층을 서로 잘 어울리지만 그렇지 않은 청소년의 경우는 다른 계층과 잘 융화되지 않음을 알 수 있고 따라서 막연한 계층 간 사회적 혼합, 혹은 단순한 커뮤니티 증진만을 주장하는 것은 주민의 사회적 활동에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통행량과 행위빈도에 따른 대표적 가로유형의 자원사용에 관한 상관관계에서 는 행위빈도가 낮은 가로에 비하여 필요한 공간의 크기, 다른 행위자나 행위에 의하여 침해를 받지 않는 공간의 성격, 여러 공간들이 상호 연결되어 접근이 용이한 자원(EX : 연결놀이를 위한 공간의 상호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고 다양한 자원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행위빈도가 높게 나오지만 PRIVACY가 확보되진 않은 가로유형에서는 행위빈도가 높게 나타나기는 하지만 사회적 행위보다는 비사회 행위가 많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즉, 가로계획에서는 물리적인 실체를 지원하거나 그것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행위 집단이 다른 집단에 의해 침해를 덜 받으면서 행위를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는 공간의 확보와 영역을 구분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계층 간, 다른 집단 간, 다른 공간, 다른 행위와의 연결성이나  접근성을 고려하여 가로계획을 하여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더 나아가 계층 간 주요 행위가 다르고 또한 행위에 따른 공간이용의 성격도 다르다. 이는 계층 간 행위에 대한 이해와 함께 그 행위의 구조를 파악하여야 하며 자원 또한 행위구조와 계층 간 관계를 고려하여 그 구성을 더 중요시해야 한다고 말할 수 있다. 

more

목차

제1장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1.1. 연구의 배경................................................................................................. 1
1.1.2. 연구의 목적................................................................................................. 1


제2장 선행연구의 고찰..................................................................................... 4

2.1. 가로의 기존 계획적 유형과 주민이용행위................................................... 4
2.1.1. 선행연구의 검토....................................................................................... 4
2.1.2 주거단지 도로의 계획적 유형과 도로망 형식.................................. 6
2.1.3 보행동선의 형식 및 보차 관계에 의한 도로유형............................ 6
2.2 가로이용행위의 차이 : 도로유형의 비교....................................................... 9
2.3 도로계획(도로망) 형식의 영향....................................................................... 11
2.3.1 사회적 영향..................................................................................... 11
2.3.2 과밀감/개방감에 대한 영향......................................................... 12
2.4 보차 관계에 의한 도로유형과 유형간 주민생활 영향의 차이............... 13
2.4.1 보행자전용도로................................................................................. 3
2.4.2 거주자 의식의 비교....................................................................... 14
2.4.3 보차 관계에 의한 도로유형 관련연구의 방법론적 논의..... 15
2.4.4 도로 인접/연계 시설의 영향....................................................... 17
2.5 선행연구의 방법론 : 보편적 결함............................................................ 20


제3장 연구방법............................................................................................... 24

3.1. 연구의 범위........................................................................................................ 24
3.2. 가로유형화 사례선정의 기준......................................................................... 24
3.3. 가로유형화 분석의 방법 및 진행과정......................................................... 26
3.4. 가로유형화에 따른 행위관찰 대상지 선정................................................. 31
3.4.1. 관찰조사 대상지 선정의 기준............................................................. 31
3.4.2. 관찰조사대상지 선정의 방법............................................................... 31
3.5. 관찰조사의 방법................................................................................................ 36
3.5.1. 관찰조사의 내용과 절차....................................................................... 36
3.5.2. 관찰조사의 내용..................................................................................... 36
3.5.3. 조사 시기 및 시간............................................................................... 38
3.5.4. 관찰조사의 절차..................................................................................... 38


제4장 연구결과............................................................................................... 40

4.1. 가로에서의 행위.................................................................................................. 40
4.1.1. 가로유형에 따른 행위 빈도................................................................. 40
4.1.2. 가로유형별 통행량과 행위빈도........................................................... 42
4.1.3. 가로행위의 그룹규모............................................................................. 43
4.1.4. 행위자 특성(가로 행위의 연령계층).................................................. 44
4.1.5. 가로유형별 주요 연령계층................................................................... 45
4.1.6. 행위의 사회적 성격............................................................................... 47
4.2. 가로공간에서의 행위성격 분석........................................................................ 54
4.2.1. 행위의 유형분류..................................................................................... 54
4.3. 가로 행위의 자원의 성격 분석........................................................................ 71
4.3.1. 행위의 자원유형 분류........................................................................... 71


제5장 결론...................................................................................................... 75
제6장 Discussion........................................................................................... 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