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청소년 사회성 척도의 타당화 연구

Validation Study of Adolescent Sociality scale

  • 주제(키워드) 사회성 척도
  • 발행기관 아주대학교
  • 지도교수 김은정 교수님
  • 발행년도 2006
  • 학위수여년월 2006.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본 연구는 사회성에 대한 Spence(1995)의 Multi-modal 접근 이론을 바탕으로, 청소년용 사회성 질문지를 개발하고 이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사회성에 대한 63개 문항으로 된 질문지를 구성한 다음, 이 질문지에 대해 200명의 청소년들이 반응한 자료들을 요인분석하였고, 그 결과 최종적으로 34문항을 선정하여 사회성 질문지를 개발하였다. 사회성 척도는 ‘공감 및 호의’ ‘분노조절 및 비판 수용하기’ ‘대화하기’ ‘주장하기’ ‘요청하기’ 라는 5요인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이 밝혀졌다. 연구 2에서는 사회성 척도의 요인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선행 연구들에서 보고된 여러 가지 요인 모형들을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평가하였다. 사회성 척도를 343명의 중학생들에게 실시하여 그들의 반응을 수집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사회성 척도는 ‘공감 및 호의’ ‘분노조절 및 비판 수용하기’ ‘대화하기’ ‘주장하기’‘요청하기’ 라는 5요인구조로 이루어져 있음이 밝혀졌다. 5요인 모델은 내적합치도, 검사-재검사신뢰도가 매우 높았으며, 구성타당도 및 수렴타당도 역시 양호하였다. 또한 사회성의 선행 변수와 결과 변수를 포함한 사회성의 매개모델을 검증하여 사회성 척도의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본 사회성 질문지는 사회적 기술을 매우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하는 도구라고 결론 내릴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앞으로의 연구 문제에 관해 논의하였다. 주요어 : 사회성, 청소년, 신뢰도, 타당도, 요인분석, 매개모델

more

목차

국문초록ⅰ
목차ⅱ
표목차 ⅲ
그림목차 ⅳ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4
1. 사회성의 중요성 4
2. 사회성의 정의 5
3. 사회성과 관련된 요인 15
4. 사회성의 평가 척도 20
5. 애착 22
6. 우울 23
7. 공격성 24
8. 외향성 25

Ⅲ. 연구방법 26
연구1. 청소년 사회성 척도 개발 26
방법 26
결과 27
연구2. 청소년 사회성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32
방법 32
연구대상 32
측정도구 33
자료분석 36
결과 36
1.사회성 문항-하위척도 상관계수 및 신뢰도 36
2.사회성척도의 타당도 38

Ⅳ. 논의 44

참고 문헌 47

ABSTRACT 52

부록 5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