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청소년단체 활동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인식 비교 분석

  • 발행기관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최운실
  • 발행년도 2004
  • 학위수여년월 2005.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평생교육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본 연구는 초등학교 청소년단체 활동을 하고 있는 초등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지도교사와 학생을 이해하고, 문제점과 초등학교 청소년 단체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 단체 활동 참여 동기, 선호하는 프로그램 분석, 청소년 단체의 필요성, 청소년 단체 활동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삼고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청소년 단체 활동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실태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둘째, 초등학교 청소년 단체 활동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과 실태를 분석하고자 하였고, 셋째,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청소년단체 활동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학위논문이나 저서를 중심으로 한 문헌연구와 초등학교 청소년 단체 활동의 의식 수준을 조사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 목적에 따라 선행연구를 참작하여 연구자가 재작성한 질문지를 도구로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개인 배경 4문항, 초등학교 청소년 단체 활동 실태에 관한 문항 9문항, 초등학교 청소년 단체 활동에 대한 인식 문항 22문항 등 총 35개의 문항으로 교사용과 학생용으로 나누어 각 150부씩 총 300부를 수원, 용인, 화성, 안산으로 배부하여 290부를 회수하여 288부를 전산처리에 사용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는 SPSS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여 분석하였고 처리 방법으로는 백분율, x² 검증, t검증, F검증,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단체 활동에서 교사 1인이 담당하는 대원들의 수는 40명 이상의 많은 대원들이 지정되어 있었으며 이상적인 대원의 수 10명 이내와는 많은 차이가 있었다. 보다 능률적인 교육 활동을 위해서는 청소년 단체 담당교사를 많이 확보하여 교사가 담당하는 대원들의 수를 줄이는 것이 시급한 문제이다. 하지만 향후 지도 교사 희망 여부에서는 대부분이 ‘그저 그렇다’라고 대답하여 지금의 현실로는 교사가 자발적으로 청소년 단체를 맡는 것은 쉽지 않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사는 담당교사의 근무부담을 줄이고, 활동할 수 있는 전용시설의 확보를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 뽑고 있다. 따라서 담당교사에게 과중한 업무를 주지 않고, 국가와 지역사회가 활동할 수 있는 전용시설의 확보에 힘쓰며, 더욱 많은 교사에게 연수의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둘째, 학생들은 청소년 단체 활동에 대해서 대부분이 만족감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선호하는 프로그램으로써 뒤뜰야영과 수상, 래프팅 활동을 선택하고 선호하지 않는 프로그램으로써 선서식을 선택하였다. 이는 학생들이 청소년 단체 활동에서 직접 체험하고 활동할 수 있는 흥미위주의 프로그램을 좋아하며 엄숙하고 지루하다고 느끼는 선서식은 싫어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진행하는 교사에게 어떻게 지도해야 할 것인지를 시사하고 있다. 그리고 청소년 단체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일로써 경제적인 부담과 활동할 수 있는 전용시설의 확보를 들었다. 교육의 방법과 내용의 변화를 요구하던 시대에서 교육비와 시설을 요구하는 시대로의 변화를 의미하고 있다. 셋째, 초등학교에서 청소년 단체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모두 인식하고 있지만 참여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로 경제적인 부담과 시간 부족, 다른 계발활동을 하고 싶어서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이는 어려워진 경제사정과 치열한 입시경쟁으로 인해 학생들이 돈과 시간의 부족으로 단체에 참여할 수 없는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 학생들이 걱정 없이 청소년 단체에 참석할 수 있도록 국가의 보조와 교육정책의 개혁이 필요함을 느끼는 부분이다. 청소년 단체 활성화를 위해 우선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에 대해서 교사는 근무 부담과 활동할 수 있는 전용시설의 확보와 유능한 지도자의 확보를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학생은 활동비의 축소와 활동할 수 있는 시설 확보, 단체 목적에 알맞은 교육 내용을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 뽑았다. 공통적으로 시급하다고 느끼는 것은 무엇보다도 청소년 단체 활동을 할 수 있는 전용시설의 확보로 보다 많은 청소년들이 참여하여 활동할 수 있게 국가와 지역단체들은 청소년 단체 시설 확충에 대한 예산 편성에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more

목차

목차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내용 및 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4
1. 청소년 단체 활동의 필요성과 의의 = 4
2. 초등학교 청소년 단체 활동 = 8
3. 선행 연구 개관 = 19
Ⅲ. 연구 방법 = 22
1. 표집 대상 및 조사 실시 = 22
2. 조사 영역 및 내용 = 22
3. 조사결과 분석 방법 = 23
4. 응답자의 인적사항 = 24
Ⅳ. 조사 결과 분석 = 26
1. 교사의 청소년 단체 활동에 대한 인식과 실태 = 26
2. 초등학생의 청소년 단체 활동에 대한 인식과 실태 = 36
3. 초등교사와 초등학생의 청소년 단체 활동에 대한 인식과 실태 비교 = 45
Ⅴ. 요약 및 결론 = 53
1. 요약 = 53
2. 결론 및 제언 = 55
참고문헌 = 58
부록 = 60

more

목차

표목차
<표Ⅱ- 1> 청소년 단체 활동의 유형별 특성 = 10
<표Ⅱ- 2> 청소년 단체 종류 및 특성 = 11
<표Ⅲ- 1> 조사도구 변인 및 문항 = 23
<표Ⅲ- 2> 초등교사 응답자의 인적사항 = 24
<표Ⅲ- 3> 초등학생 응답자의 인적사항 = 25
<표Ⅳ- 1> 지도한 청소년 단체명 = 26
<표Ⅳ- 2> 지도하고 있는 청소년 단체 대원수 = 27
<표Ⅳ- 3> 교사의 청소년 단체 활동 선호 프로그램 = 28
<표Ⅳ- 4> 교사의 청소년 단체 활동 비선호 프로그램 = 29
<표Ⅳ- 5> 교사의 초등학교 청소년 단체가 필요한 이유 = 30
<표Ⅳ- 6> 교사의 청소년 단체 이념과 설립 목적에 대한 성취 여부 = 31
<표Ⅳ- 7> 교사의 청소년 단체 활동 이상적인 대원 수 = 32
<표Ⅳ- 8> 교사의 가장 적합한 청소년 단체 활동 시설 = 33
<표Ⅳ- 9> 청소년 단체 지도자 만족 이유 = 33
<표Ⅳ-10> 청소년 단체 지도 희망 여부 = 34
<표Ⅳ-11> 교사의 학생이 청소년 단체에 참여하고 있지 않은 이유 = 34
<표Ⅳ-12> 교사가 청소년 단체 활성화를 위해 우선 해결해야 할 일 = 35
<표Ⅳ-13> 학생이 활동한 청소년 단체 = 36
<표Ⅳ-14> 학생이 활동하고 있는 청소년 단체 대원수 = 37
<표Ⅳ-15> 청소년 단체 활동 실시 장소 = 38
<표Ⅳ-16> 학생의 청소년 단체 활동 선호 프로그램 = 38
<표Ⅳ-17> 학생의 청소년 단체 활동 비선호 프로그램 = 40
<표Ⅳ-18> 학생의 청소년 단체 이념과 설립 목적 실천 정도 = 41
<표Ⅳ-19> 학생의 청소년 단체 활동 교육내용 만족도 = 42
<표Ⅳ-20> 학생의 다른 단체와의 교육내용 차별성에 대한 인식 = 42
<표Ⅳ-21> 청소년 단체 대원 만족도 = 43
<표Ⅳ-22> 학생의 청소년 단체 참여를 계속하지 않는 이유 = 43
<표Ⅳ-23> 학생이 청소년 단체 활성화를 위해 우선 해결해야 할 일 = 44
<표Ⅳ-24> 집단간 활동했던 청소년 단체 비교 = 45
<표Ⅳ-25> 집단간 청소년 단체 활동 선호 프로그램 비교 = 46
<표Ⅳ-26> 집단간 청소년 단체 활동 비선호 프로그램 비교 = 46
<표Ⅳ-27> 집단간 청소년 단체 필요성 여부 비교 = 47
<표Ⅳ-28> 집단간 청소년 단체 이념과 설립 목적 실천 여부 비교 = 48
<표Ⅳ-29> 집단간 청소년 단체 활동 프로그램 만족도 비교 = 48
<표Ⅳ-30> 집단간 청소년 단체 프로그램 만족하지 않는 이유 비교 = 49
<표Ⅳ-31> 집단간 청소년 단체의 프로그램의 차별화 비교 = 50
<표Ⅳ-32> 집단간 청소년 단체 활동 실시 시기 비교 = 50
<표Ⅳ-33> 집단간 청소년 단체 활동에 적합한 시설 비교 = 51
<표Ⅳ-34> 집단간 청소년 단체에 참여하고 있지 않은 이유 비교 = 52
<표Ⅳ-35> 집단간 향후 청소년 단체 전망 비교 = 52

more